여행길_해외

[초등 아이와 영국 여행] 내셔널 갤러리에서 꼭 봐야 하는 작품 1편

지혜의길 2025. 4. 16. 14:03
반응형

13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서양 회화 걸작 약 2,300점 이상을 소장한 내셔널 갤러리를 관람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한정된 시간과 미술사에 깊은 조예가 없다면 긴 시대의 방대한 작품을 어떻게 관람할지 막막한데요. 도슨트를 신청하셔도 되지만 도슨트 없이 아이와 함께 여유 있게 둘러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꼭 봐야 할 작품과 저희가 좋았던 작품들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저희는 4시간 이상 머물렀고 소개하는 전시물들을 모두 보고 싶다면 시간을 반나절은 잡고 방문하세요.

각 룸들의 위치는 맵을 첨부 하니 동선 계획 시 참고하시고 방문하는 시기에 따라 타관 전시 등의 이유로 작품이 전시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니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해당 작품 전시 여부를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내셔널 갤러리 Map 다운로드하기

printable-download-map_20march25.pdf
0.66MB


1. 대사들 (The Ambassadors)

대사들 (The Ambassadors)
대사들 (The Ambassadors)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한스 홀바인 Hans Holbein 1533 Room 12 

 
이 작품은 르네상스 시대의 걸작으로, 단순한 초상화를 넘어 상징과 의미가 풍부하게 담긴 작품입니다. 헨리 8세가 로마 가톨릭에서 분리, 영국 국교회를 설립해 가톨릭을 박해하던 시대였습니다. 이로 인해 프랑스와 영국 사이의 외교적 긴장이 높았던 시기에 대사로 일하는 두 사람의 불안정한 모습이 담긴 작품입니다.

작품 왼쪽에 서 있는 장 드 딘트빌(Jean de Dinteville)은 프랑스의 외교관이자 영국 주재 대사입니다. 화려한 복장과 당당한 자세로 세속적 권력과 부를 상징합니다. 
작품 오른쪽에 서 있는 조르주 드 셀브(Georges de Selve)는 로마 가톨릭 성직자이자 외교관으로 프랑스 왕의 외교 임무를 맡았습니다. 검은 의복을 입고 있으며 종교적, 학문적 권위를 상징합니다.
작품 속 소품들은 모두 상징적 메시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악기의 줄은 끊어져 있고 나눗셈이 표시된 수학책은 영국과 교황청의 분열을 의미하고 지구본은 프랑스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십자가는 구원의 메시지를 나타냅니다.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바닥의 일그러진 숨겨진 해골(아나모르포시스)로 그림의 오른쪽에서 비스듬히 봐야 정확하게 해골이 보입니다. 이는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의 상징으로 세속적 성취와 지식의 허무함을 상징합니다.


2. 교황 율리우스 2세 (Portrait of Pope Julius II) 

교황 율리우스 2세 (Portrait of Pope Julius II)
교황 율리우스 2세 (Portrait of Pope Julius II)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라파엘로 산치오 (Raffaello Santi) 1511 Room 10


이 작품은 르네상스 미술에서 교황 초상화의 전통을 새롭게 정의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교황의 인간적인 면모와 권위, 심리적 깊이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으며, 당시 교황의 정치적 역할과 성격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기존 교황의 초상화들은 정면을 향하거나 장엄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보편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작품에선 의자에 깊이 앉아 있는 자세, 생각에 잠긴 듯한 표정을 표현함으로써 깊은 고뇌와 사색을 암시합니다. 또한 정면이 아닌 약간 옆을 바라보는 시선은 관람자와 직접적인 교감을 피하면서도 권위를 유지합니다. 이는 교황의 내면적 갈등과 고독한 권력의 부담을 암시함으로써 ‘교황도 인간이다’라는 심리적 깊이를 담은 당시로선 매우 혁신적인 표현이었습니다.
지친 듯한 표정과 주름진 눈가는 인간적 내면을 부각하고 손수건은 권위보다는 인간적인 불안감과 생각에 잠긴 심리를 나타내는 장치로 해석됩니다.
뒷배경은 짙은 녹색 커튼, 교황의 붉은 의상과 대비를 이루며 권위를 강조하고 있으며 의자 팔걸이 조각된 도금 솔방울은 교황 문장의 일부로 로마의 고대 상징이자 영원한 생명력과 부활을 상징합니다.
이전의 초상화와 달리, 인물의 내면 심리를 드러내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사용해 이상화하지 않은 사실주의적 표현으로 초상화의 새로운 모델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교황 율리우스 2세는?
1503–1513 재임한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강력하고 정치적인 교황 중 한 명입니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바티칸의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미켈란젤로), 성 베드로 대성당 신축 등을 후원하였고 외교와 군사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해 전사 교황(Warrior Pope)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3. 암굴의 성모 (The Virgin of The Rocks) 

암굴의 성모 (The Virgin of The Rocks)
암굴의 성모 (The Virgin of The Rocks)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레오나르도 다빈치 Leonardo da Vinci 1491~1508년경 Room 66

 

이 작품은 다빈치를 좋아하는 아이가 가장 보고 싶어 했던 작품입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암굴의 성모(The Virgin of the Rocks)>는 르네상스 회화의 대표적인 걸작 중 하나로, 과학, 신앙, 예술이 조화를 이루는 상징적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두 버전이 존재하는데 루브르 박물관과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저희는 두 작품을 함께 비교하며 관람했는데 다른 부분을 아이와 함께 찾아보며 관람하시면 더 좋습니다.

 

● 암굴의 성모 1, 2차 작품 비교 

  루브르 1차 작품 런던 2차 작품
제작 시기 1483–1486년경 1491~1508년경
소장처 루브르 박물관 내셔널 갤러리
분위기 어두운 색조, 더 강한 신비감 더 밝고 섬세한 묘사
비교 부분 천사의 눈빛 - 관람자를 향함 천사의 눈빛 -  아이들을 바라봄
스푸마토 강하게 적용 윤곽이 더 뚜렷함

 

이 작품은 거대한 석회암 동굴을 배경으로 성모 마리아, 아기 예수, 세례자 요한, 천사 우리엘이 암굴 속에서 피라미드형 구도를 이루며 배치되어 있습니다. 동굴은 초자연적이고 신성한 공간으로 표현되었고 세밀하게 그려진 식물과 흐르는 물은 레오나르도의 자연과학적 관심이 반영된 생명의 순환과 정화를 상징해 미학적 가치를 높여주었습니다.
회화적 특징은 윤곽선 없이 연기처럼 부드럽게 경계가 사라지는 명암 처리 기법인 스푸마토(Sfumato) 기법을 사용해 인물의 피부, 빛과 그림자의 부드러운 전환이 표현되었습니다.
성모를 중심으로 예수, 요한, 천사가 삼각형 구도를 이룸으로써 안정감과 조화, 신성한 질서를 상징합니다.
마리아는 손을 펼쳐 예수를 보호하고, 예수는 요한을 축복하며 천사는 요한을 가리키며 눈으로 관람자를 응시해 작품에 몰입감을 줍니다.


4.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The Arnolfini Portrait)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The Arnolfini Portrait)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The Arnolfini Portrait)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얀 반 에이크 Jan van Eyck 1434 Room 63

 

유화 기법을 창시한 얀 반 에이크의 작품으로 이탈리아 상인 조반니 아르놀피니와 그의 아내를 묘사한 전신 초상화로 정교한 세부 묘사와 상징성이 풍부한 작품입니다. 단순한 부부의 모습 이상을 담고 있으며, 결혼, 부, 신앙, 상징이 정교하게 얽힌 명화로 하나의 그림이 수많은 이야기를 품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 안의 볼록 거울은 방의 전체 모습을 비추며, 화가 자신을 포함한 두 명의 인물이 방에 들어오는 모습이 묘사했습니다. 단 한 개만 켜진 촛대는 신의 현존을 신발을 벗은 인물들은 종교적 의미로 신성한 장소를 손을 맞잡은 부부는 결혼 서약을 침대는 결혼의 성스러움과 출산을 강아지는 충성과 신의를 의미하며과일은 풍요와 부를 상징합니다.
북유럽 르네상스 회화의 중요한 걸작으로, 당시 부유한 상인 계층의 일상과 물질문화를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이기도 합니다.


5. 삼손과 데릴라 (Samson and Delilah) 

삼손과 데릴라 (Samson and Delilah)
삼손과 데릴라 (Samson and Delilah)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피터 폴 루벤스 Peter Paul Rubens 1609~1610 Room 18

 

구약성서의 유명한 이야기인 삼손과 데릴라의 장면을 화려하고 극적으로 묘사한 이 작품은 육체적 사랑과 배신, 인간의 나약함이라는 주제를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루벤스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이 그림은 극적인 감정 표현과 윤리적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그의 육감적인 인체 표현과 심리적 긴장감 묘사로 뛰어난 바로크 미학을 보여줍니다.

작품의 상징은 머리카락은 삼손의 힘, 정체성, 신과의 언약을 가위는 배신과 약탈, 병사들은 삼손의 몰락, 힘의 상실을 데릴라의 표정은 유혹과 배신, 이중성을 의미합니다. 

 

● 그림의 배경이 된 구약성경, 사사기 16장

 

삼손은 히브리 민족의 지도자로, 신이 주신 엄청난 힘을 가진 인물입니다. 이 힘은 그의 머리카락에서 비롯된 것으로, 머리를 자르지 않는 나실인의 서약을 지키는 한 유지됩니다.
데릴라는 블레셋 사람들이 보낸 여인으로, 삼손을 유혹해 그의 힘의 비밀을 캐내고, 결국 그의 머리카락을 잘라 힘을 빼앗고 배신합니다. 이후 삼손은 포로로 잡히지만 마지막 순간 신의 힘을 되찾아 적을 무너뜨립니다.


6. 34세의 자화상 (Self Portrait at the age of 34)

34세의 자화상 (Self Portrait at the age of 34)
34세의 자화상 (Self Portrait at the age of 34)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판 레인 램브란트 Rembrant van Rijn 1640 Room 15

 

이 자화상은 렘브란트가 암스테르담에서 성공한 화가로 명성을 떨치던 시기에 그려졌습니다. 
화려하고 자신감 넘치는 시기의 렘브란트를 보여주는 대표작입니다. 이 작품은 그의 생애 중 가장 절정에 있던 때의 자부심과 예술적 성숙함이 담긴 작품입니다.
렘브란트는 생애 동안 약 80점의 자화상을 그렸는데, 이 작품은 그의 중년기를 대표하는 자화상입니다. 단순한 외모의 기록을 넘어 자아성찰과 내면의 탐구를 보여주는 심리적 기록으로도 해석됩니다.
이 작품은 렘브란트 특유의 명암 대비 (Chiaroscuro) 기법이 적용되어 인물 묘사 능력, 그리고 자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는 바로크 시대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7.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 (Bathers at Asnieres)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 (Bathers at Asnieres)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 (Bathers at Asnieres)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조르주 쇠라 Georges Seurat 1884 Room 44

 

이 그림은 파리 외곽의 강가 아스니에르에서 여유롭게 휴식을 취하는 노동자들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당시 사회 계층과 도시 생활을 은유적으로 보여줍니다.
당시 화단의 주류였던 인상주의에서 점묘주의로 향하는 회화사적 전환점이 된 작품으로, 신인상주의(Neo-Impressionism)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8. 파리스의 심판 (The Judgement of Paris)

파리스의 심판 (The Judgement of Paris)
파리스의 심판 (The Judgement of Paris)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페터르 파울 루벤스 Peter Paul Rubens 1632-1635 Room 18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가 세 여신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중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선택하는 신화를 그린 작품입니다. 제우스가 주최한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식에 불화의 여신 에리스(Eris) 가 초대받지 못하자, 복수를 위해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 라고 적힌 황금 사과를 연회장에 던집니다. 제우스는 트로이 왕자 파리스(Paris) 에게 심판을 맡기고 세 여신은 자신이 선택 받기위해 파리스에게 뇌물을 제안합니다. 헤라는 권력과 왕위를 약속하고, 아테나는 지혜와 전쟁에서의 승리를 아프로디테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 ‘헬레네’ (스파르타 왕 메넬라오스의 아내)를 아내로 주겠다고 약속합니다. 파리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했고, 이로 인해 트로이 전쟁의 시발점이 됩니다.
루벤스는 이 주제로 총 3점의 그림을 그렸는데 이 작품은 23세에 그린 첫 작품입니다. 바로크 스타일로 여신들의 관능적인 누드 강조와 극적인 구도로 여신들의 경쟁과 파리스의 선택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했고 하늘에서 에리스(불화의 여신)가 황금 사과를 던지는 장면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9. 밀라노 공작부인 크리스티나(Christina of Denmark, Duchess of Milan)

밀라노 공작부인 크리스티나(Christina of Denmark, Duchess of Milan)
밀라노 공작부인 크리스티나(Christina of Denmark, Duchess of Milan)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한스 홀바인 더 영거 Hans Holbein the Younger 1538 Room 11

 

튜더 시대의 대표적인 초상화로, 영국 국왕 헨리 8세가 재혼 상대자를 물색하던 과정에서 제작된 정치적 초상화입니다. 헨리 8세는 세 번째 부인 제인 시모어가 사망한 후 네 번째 왕비 후보로 크리스티나를 고려했습니다. 헨리 8세의 궁정화가였던 홀바인은 브뤼셀로 파견되어 3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크리스티나를 관찰하고 초상화를 위한 스케치를 완성했습니다.
크리스티나와 헨리 8세의 결혼은 성사되지 않았지만, 이 초상화는 북유럽 르네상스 초상화의 걸작으로 인정받았습니다.

 

● 작품 속 인물 크리스티나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2세의 딸로, 당시 16세의 젊은 과부였습니다. 밀라노 공작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와 결혼했으나, 결혼 1년 만에 남편이 사망했습니다. 크리스티나는 헨리 8세의 청혼에 대해 "목이 두 개라면 하나는 잉글랜드 국왕에게 기꺼이 바치겠지만, 불행히도 목이 하나뿐"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는 헨리 8세의 이전 두 명의 왕비(앤 불린, 캐서린 하워드)를 처형한 일을 언급한 것으로 정중하지만 강한 거절의 표현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10. 퐁파두르 부인 (Madame de Pompadour at her Tambour Frame)

퐁파두르 부인 (Madame de Pompadour at her Tambour Frame)
퐁파두르 부인 (Madame de Pompadour at her Tambour Frame)

작가 작품 연도 전시공간
프랑수아위베르 드루에 François-Hubert Drouais 1763~1764 Central Hall

 

18세기 프랑스 로코코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 인물인 ‘퐁파두르 부인(Madame de Pompadour)’의 초상화입니다.

정식명칭은 <수틀 앞에 앉은 퐁파두르 부인>이다.
퐁파두르 부인(본명: 잔 앙투아네트 푸아송, 1721-1764)은 프랑스 국왕 루이 15세의 정부이자 사실상 프랑스 여왕이었다. 20세 초까지 유럽 국왕들은 대부분 '메트레상티트르'라 불리는 공인된 정부, 즉 애첩을 두고 있었습니다. 많은 정부 중 가장 사랑하는 여자에게는 '메트레상티트르'라는 지위를 주었습니다. 그녀는 정치적 조언자, 예술, 문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후원자로 프랑스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초상화를 넘어, 18세기 프랑스 궁정 문화와 여성의 사회적 역할, 그리고 퐁파두르 부인의 정치적·문화적 위상과 함께 로코코 예술의 특징을 이해하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여행길_해외] - [초등 아이와 영국 여행] 내셔널 갤러리에서 꼭 봐야 하는 작품 2편

 

[초등 아이와 영국 여행] 내셔널 갤러리에서 꼭 봐야 하는 작품 2편

13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서양 회화 걸작 약 2,300점 이상을 소장한 내셔널 갤러리를 도슨트 없이 아이와 함께 관람할 수 있게 꼭 봐야 할 작품과 저희가 좋았던 작품들을 두 번째로 정리해 봅

bysagacity.tistory.com

 

[여행길_해외] - [초등 아이와 영국 여행] 빈센트 반 고흐와 에드가 드가의 내셔널 갤러리 작품

 

[초등 아이와 영국 여행] 빈센트 반 고흐와 에드가 드가의 내셔널 갤러리 작품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는 고흐와 드가의 작품이 다수 있습니다. 인상주의 작가를 좋아하기에 고흐와 드가 작품을 소개해 봅니다.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는 네덜란드 출신의 후기 인

bysagacity.tistory.com

[여행길_해외] - [초등 아이와 영국 여행] 내셔널 갤러리에서 잊지 말고 봐야 할 작품

 

[초등 아이와 영국 여행] 내셔널 갤러리에서 잊지 말고 봐야 할 작품

내셔널 갤러리 마지막 피드로 이번에는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작품을 소개하려 합니다.1. 시바의 여왕이 승선하는 항구 (Seaport with the Embarkation of the Queen of Sheba)작가작품 연도전시공간클로드 로

bysagacity.tistory.com

 

반응형